백엔드/JAVA27 JAVA 조건/반복문 #2 for문을 사용한다면? 코딩을 하다보면 같은 작업을 반복하는 코드가 필요할 경우가 있는데 이때 사용하는 것이 반복문이다. 반복문에서 사용하는 방법중 for문을 이용해 간단한 반복문을 만들어 보자면 int a = 0; a = a + 1; a = a + 2; a = a + 3; a = a + 4; System.out.println("1~4의 합은" + a); 우선 이렇게 간단한 예제 코드가 있다면 이걸 반복문으로 처리할 수 있는데 int a = 0; for(int i = 1; 1 2023. 3. 14. JAVA 조건/반복문 제어문이란? 흔히 제어문이라 불리는 조건/반복문은 코드의 실행 흐름을 제어한다고 하여 제어문이라고 불린다. JAVA에서 코드의 실행흐름은 위에서 아래로 내려가는 흐름을 가지고있는데 이 전체 흐름에서 제어문을 이용해 다양한 코드의 흐름이 발생하게 된다 어떠한 조건에의해 코드의 실행이 중간에 멈추어 다시 제어문 코드블럭으로 돌아갈지 아니면 제어문 코드블럭을 빠져나와 정상적인 흐름으로 돌아갈지는 제어문을 어떻게 사용하느냐에 달려있다. 제어문 안에서 또다른 제어문도 사용이 가능하며 이를 이용해 개발자가 원하는 다양한 코드의 흐름을 만들수 있다. If문을 사용하면? 조건문의 하나인 if문을 예제를 통해 코딩해 보았는데 if문을 사용하려면 if 다음 ()안에 조건식을 적고 그 조건식에 맞으면 어떠한 코드가 실행이 .. 2023. 3. 13. JAVA 연산자에 대해 부호/증감 연산자 지금까지 배웠던 JS와 달리 JAVA에서는 증감연산자의 위치에 따라 결과가 다르다는걸 알게 되었는데 for문에서 자주 사용했던 i++ 같은 코드가 모두 실행되면 현재 i에서 하나를 증가시킨다의 의미로 알고 있었는데 JAVA에서도 I++은 동일 했지만 ++i 같은 경우 코드를 실행하기 전에 i의 수를 먼저 증가 시키고 코드를 실행하는 의미로 사용된다고 한다. 쉽게 설명하면 앞에 연산자가 존재한다면 연산을 먼저 실행하고 뒤에 존재한다면 모든 코드가 실행되고 나서 연산을 실행한다. 뭔가 쉽다고 생각하고 결과값을 먼저 생각한 후 예제코드를 실행했지만 내 생각과는 다르게 결과값이 나와 살짝 햇갈렸지만 집중하고 살펴보니 생각보다 어렵지 않은 문제였다. int a = 10; int b = 10; i.. 2023. 3. 9. JAVA 변수 (2) 자동 타입 변환 자동으로 타입 변환이 일어나는 것을 말하며 값의 허용범위가 작은 타입이 큰타입으로 대입이 될 떄 발생한다. 변수의 기본타입을 혀용 범위 순으로 나열하면 byte short, char int long float double 위 표의 순서대로 오르쪽으로 갈수록 허용범위가 커진다. byte btValue = 5; int intValue = btValue; 이 자동 타입 변환이 일어나는 그림을 보자면 int 타입은 4byte의 메모리 크기를 가지고 있으므로 1byte 메모리 크기를 가진 byte 타입은 자동으로 타입이 변환되어진다. 만약 정수 타입이 실수 타입으로 대입될 경우 실수타입은 정수타입보다 허용범위가 크기 때문에 자동으로 타입변환이 된다. long longValue = 500000000.. 2023. 2. 22. 이전 1 ··· 3 4 5 6 7 다음